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Navigation
- livedata
- 앱
- binding
- ScrollView
- Button
- scroll
- Kotlin
- 테스트
- TEST
- data
- 앱바
- drift
- Coroutines
- Flutter
- CustomScrollView
- intent
- LifeCycle
- textfield
- Compose
- DART
- android
- activity
- 안드로이드
- viewmodel
- Dialog
- 계측
- appbar
- textview
- tabbar
- Today
- Total
Study Record
HTML 목록과 테이블 태그 본문
순서 없는 목록 만들기
<ul>, <li> 태그
순서가 필요하지 않는 목록을 만들 때는 ul 태그를 사용하고 각 항목으로 li 태그를 사용한다.
<ul>
<li>일반 전화</li>
<li>이메일</li>
<li>휴대 전화</li>
</ul>
순서 있는 목록 만들기
<ol>, <li> 태그
항목을 나열하되 순서가 필요한 목록을 만들 때는 <ul> 태그 대신 <ol> 태그로 사용한다. 여러 속성들과 함께 사용하여 목록의 숫자 표기 방법이나 시작하는 숫자 등을 바꿀 수 있다.
<!--
속성 정보
type : 목록의 숫자 표기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. (속성값 : 1(기본값), a, A, i, I)
start : 다른 번호부터 시작할 수 있다.
reserved : 항목을 역순으로 표시한다.
-->
<ol reversed>
<li>한라 수목원</li>
<li>산방산</li>
<li>광교산</li>
<li>설악산</li>
<li>해수욕장</li>
</ol>
<ol type="A" start="3">
<li>한라 수목원</li>
<li>산방산</li>
<li>광교산</li>
<li>설악산</li>
<li>해수욕장</li>
</ol>
</li> 태그 생략과 목록 중첩
</li> 태그를 생략해도 <li> 태그가 다음에 오는 <li> 태그를 만나면 자동으로 그 전에 </li>태그가 있는 것처럼 인식한다.
<ol type="A" start="3">
<li>한라 수목원
<li>산방산
<li>광교산
<li>설악산
<li>해수욕장
</ol>
설명 목록 만들기
<dl>, <dt>, <dd> 태그
<dl> 태그는 사전 구성처럼 제목과 설명이 한 쌍인 설명 목록을 만든다.
<dl> 태그는 목록을 만들고 <dt> 태그는 제목을 <dd> 태그는 설명을 표시한다.
<dl>
<dt>학력 정보</dt>
<dd>이름 : 홍길동</dd>
<dd>연락처 : 010-2222-3333</dd>
<dt>성적</dt>
<dd>수학 : A</dd>
<dd>과학 : A</dd>
<dd>미술 : D</dd>
</dl>
표 만들기
* 행(row)은 가로줄, 열(column)은 세로줄을 뜻한다. 행과 열이 만나 이루는 영역을 셀(cell)이라고 부른다.
<table>, <tr>, <td>, <th> 태그로 기본적인 표 만들기
<tr> 은 행을 만드는 태그이며, <td> 는 열을 만드는 태그이다.
<th> 는 제목을 만드는 태그이다. th 태그는 해당 셀에 들어가는 내용을 셀의 중앙에 배치학 굵게 표시된다.
<table border="1">
<tr>
<th>제목 셀</th>
<td>1행 2열</td>
<td>1행 3열</td>
</tr>
<tr>
<th>제목 셀</th>
<td>2행 2열</td>
<td>2행 2열</td>
</tr>
</table>
속성 colspan 행 합치기
열을 하나로 합치려면 td 태그나 th 태그 안에서 colspan 속성을 사용해 몇 개의 셀을 가로로 합칠지 지정한다.
<table border="1">
<colgroup>
<col style="width:70px;">
<col style="width:100px;">
<col style="width:70px;">
<col style="width:100px;">
</colgroup>
<tr>
<th>이름</th>
<td></td>
<th>연락처</th>
<td></td>
</tr>
<tr>
<th>주소</th>
<td colspan="3"></td>
</tr>
</table>
속성 rowspan 열 합치기
열을 하나로 합치려면 td 태그나 th 태그 안에서 rowspan 속성을 사용해 몇 개의 셀을 세로로 합칠지 지정한다.
<table border="1">
<colgroup>
<col style="width:70px;">
</colgroup>
<tr>
<td>1행 1열</td>
<td>1행 2열</td>
<td>1행 3열</td>
<td>1행 4열</td>
</tr>
<tr>
<td rowspan="2">2행 1열</td>
<td>2행 2열</td>
<td rowspan="2">2행 3열</td>
<td>2행 4열</td>
</tr>
<tr>
<td>3행 1열</td>
<td>3행 2열</td>
</tr>
</table>
<caption> 태그로 표에 제목 붙이기
제목이 위쪽 중앙에 표시된다.
<table border="1">
<caption>
<strong>테이블 제목</strong>
</caption>
<tr>
<td>1행 1열</td>
<td>1행 2열</td>
<td>1행 3열</td>
<td>1행 4열</td>
</tr>
</table>
<figcaption> 태그로 표에 제목 붙이기
<figcation> 태그와 <figure> 태그로도 표에 제목을 붙일 수 있다.<figure> 태그로 감싼 후 <figcaption> 태그를 이용해 제목이나 설명 글을 입력한다. <caption> 태그와 달리 제목이 중앙 위쪽에 표시되지 않는다.
표뿐만 아니라 제목을 붙이려고 하는 어떤 대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. 이미지, 동영상 등 모두 가능하다.
<figcaption> 위치에 따라 표의 위나 아래에 제목이 표시된다.
<figure>
<figcaption>
<b>표 테스트 입니다.</b>
</figcaption>
<table border="1">
<tr>
<td>1행 1열</td>
<td>1행 2열</td>
<td>1행 3열</td>
<td>1행 4열</td>
</tr>
</table>
<!-- <figcaption>
<b>표 테스트</b>
</figcaption> -->
</figure>
* aria-describedby 속성
화면 낭독기에서 표를 읽어줄 때 도움이 되도록 표 설명을 별도의 문장으로 작성한 후 table 태그 안에 aria-describedy 속성을 추가해 연결하면 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.
<p id="summary">
화면 낭독기에서 표를 읽어줄 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</p>
<table border="1" aria-describedby="summary">
<tr>
<td>1행 1열</td>
<td>1행 2열</td>
<td>1행 3열</td>
<td>1행 4열</td>
</tr>
</table>
<thead>, <tbody>, <tfoot> 태그로 표 구조 정의하기
<thead>는 제목, <tbody>는 본문, <tfoot>는 요약으로 표의 구조를 나눌 수 있다. 화면 낭독기를 통해 표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니다. 이렇게 구조를 정의하면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제목 부분(thead)과 요약 부분(tfoot)을 고정하고 본문(tbody)만 스크롤되도록 만들 수 있고 css를 통해 각각 다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.
<table border="1">
<thead>
<tr>
<td>1행 1열</td>
<td>1행 2열</td>
<td>1행 3열</td>
<td>1행 4열</td>
</tr>
</thead>
<tbody>
<tr>
<td>2행 1열</td>
<td>2행 2열</td>
<td>2행 3열</td>
<td>2행 4열</td>
</tr>
</tbody>
<tfoot>
<tr>
<td>3행 1열</td>
<td>3행 2열</td>
<td>3행 3열</td>
<td>3행 4열</td>
</tr>
</tfoot>
</table>
<col> , <colgroup> - 열끼리 묶어 스타일 지정하기
<tr>, <td> 태그 전에 사용해야 한다.
<col> 태그는 한 열에 있는 모든 셀에 같은 스타일을 적용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. 닫는 태그가 없다.
<colgroup> 태그로 여러 열을 묶을 수도 있다.
<col> 태그에 span 속성을 사용해 여러 열을 묶을 수 있다.
<col> 태그의 개수와 표의 열의 개수가 같아야 한다.
<table border="1">
<colgroup>
<col>
<col style="width: 40px;">
<col span="2" style="background-color: aqua;">
</colgroup>
<tr>
<td></td><td></td><td></td><td></td>
</tr>
<tr>
<td></td><td></td><td></td><td></td>
</tr>
<tr>
<td></td><td></td><td></td><td></td>
</tr>
</table>
'웹 > HTML +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input 태그 (0) | 2025.02.05 |
---|---|
HTML 폼 관련 태그들 (0) | 2025.02.04 |
웹 호스팅 서비스 (0) | 2025.02.04 |
HTML 특수기호와 특수문자 입력하기 (0) | 2025.02.04 |
HTML5의 문서구조 (0) | 2025.01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