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textview
- 앱
- intent
- viewmodel
- TEST
- Navigation
- CustomScrollView
- LifeCycle
- binding
- tabbar
- 테스트
- 안드로이드
- data
- ScrollView
- Dialog
- Flutter
- android
- drift
- 계측
- appbar
- Button
- Kotlin
- DART
- Compose
- Coroutines
- scroll
- textfield
- activity
- 앱바
- livedata
- Today
- Total
목록Resource (2)
Study Record
😶 개요 Android 프로젝트에서 문자열을 따로 직접 곳곳에 사용하는 것보다 한 파일에 앱에서 사용하는 문자열을 따로 정리하고 코드에는 문자열이 저장된 파일을 참고하는 방식이 관리하기 좋다. 😶 사용법 문자열 리소스 저장하기 res/values/strings.xml 파일에 문자열 리소스를 저장한다. Lemonade pick a lemonade! Happy Birthday! 문자열 리소스마다 name 으로 이름을 붙이고 태그 사이에 내용을 적는다. 코드에서는 name 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열 리소스를 불러올 수 있다. 코드에서 문자열 리소스 불러오기 다음 두가지 방식 모두 사용 가능 하다. getResources().getString(R.string.happy_birthday) getString(R.s..
😎 앱 리소스 앱을 만들 때 이미지나 아이콘, 파일 등 여러 가지 정적 콘텐츠를 리소스라고 부른다. ex) 비트맵, 레이아웃 정의, 문자열 리소스(문자열, 이미지 등)는 직접 코드에 정의하기 보다 유지 관리하기 쉬운 리소스 디렉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. 이렇게 외부화한 리소스는 R 클래스에서 생성되는 리소스 ID 로 액세스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xml 파일에 리소스(문자열)를 외부화하지 않고 사용하는 예시이다. "사랑해" 문자열을 외부화하여 xml 파일에 사용하면 @string/[정의한 리소스 ID] 로 외부에서 정의한 문자열을 가져올 수 있다. 앱에서 사용하는 문자열을 파일로 관리하는 디렉토리 하나를 신경 쓰는 것과 변경된 사항이 있을 때마다 xml 파일을 뒤져가며 수정하는 것을 생각하면 외부화하여..